맨위로가기

안드레 헬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레 헬러는 오스트리아의 배우, 가수, 작가, 문화 기획자이다. 빈의 유대계 제과 제조업자 가문에서 태어나, 1960년대부터 배우, 가수, 샹송 작곡가로 활동하며 14장의 LP를 발표했다. 1982년 콘서트 활동을 중단한 후에는 대규모 공연, 설치 미술, 퍼포먼스 기획에 집중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예술 감독을 맡았고, 다양한 영화에 출연했으며, 여러 편의 문학 작품을 저술했다. 또한 다양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2011년에는 로미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 트릭스터 (음악가)
    트릭스터는 2022년 데뷔 싱글 발표 후 교통사고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음악과 스윙글 싱어즈와의 협업,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국가 녹음, 자전적 영화 제작 발표, 그리고 자선 활동을 펼치는 음악가이다.
  • 오스트리아의 영화 감독 - 미하엘 하네케
    오스트리아 출신의 영화 감독 미하엘 하네케는 철학, 심리학, 연극을 전공 후 텔레비전 감독으로 데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독특한 연출 스타일로 국제적인 찬사와 논쟁을 일으키며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두 차례 수상하는 등 영화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오스트리아의 영화 감독 - 프리츠 랑
    오스트리아 태생의 영화 감독 프리츠 랑은 독일 표현주의 영화와 필름 누아르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메트로폴리스》, 《M》 등의 걸작과 미국 망명 후의 작품들을 통해 심리적 갈등, 편집증, 운명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독자적인 스타일을 구축했다.
  • 오스트리아의 남자 영화 배우 - 막시밀리안 셸
    막시밀리안 셸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배우, 영화 감독, 작가, 프로듀서이며, 영화 《뉘른베르크의 재판》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배우 활동과 더불어 영화 제작, 연출, 각본 작업도 했다.
  • 오스트리아의 남자 영화 배우 - 페터 지모니셰크
    오스트리아 배우 페터 지모니셰크는 1980년대부터 영화와 TV 시리즈에서 활약했으며, 특히 영화 《토니 에르드만》으로 유럽 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렌츠 서류》, 《쿠르스크》, 《신비한 동물사전: 덤블도어의 비밀》 등 다양한 작품에서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안드레 헬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6년의 헬러
2006년의 헬러
본명프란츠 안드레아스 헬러
출생
직업예술가, 작가, 가수, 배우
활동 기간아메데오
BASF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인터코드

2. 생애

안드레 헬러는 다방면에서 활동한 오스트리아의 예술가이다.

빈의 부유한 유대계 제과 제조업자 가문에서 태어나 카페 하벨카에서 여러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성장했다. 1964년부터 글을 쓰기 시작했고, 배우로도 활동했다. 1967년 Ö3를 공동 설립하고 첫 음반을 발매하는 등 음악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이후 15년 이상 샹송 가수, 작사가로 활동하며 아스토르 피아졸라 등 세계적인 예술가들과 협업하고 여러 히트곡을 발표했다.

1980년대부터 대규모 공연, 설치, 퍼포먼스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혔고, 2006년 FIFA 월드컵 예술 감독을 맡는 등 문화 매니저로서도 활약했다. 또한 여러 영화에 출연하고, 우표를 디자인하고, 책을 출판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했다.

헬러는 여러 차례 결혼과 이혼을 겪었다. 아들 페르디난트는 레프트 보이라는 예명으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헬러는 가르도네 리비에라의 지아르디노 보타니코에서 임시 거주하며 세계를 여행한다. 2000년에는 게르하르트 슈뢰더 당시 독일 연방 총리를 빈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맞이했다.[10]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안드레 헬러는 빈의 부유한 유대계 제과 제조업자 가문인 구스타프 & 빌헬름 헬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슈테판 헬러(1895–1958)와 엘리자베트 헬러(1914–2018)였다. 그는 거의 매일 카페 하벨카를 방문했다. 이 커피 하우스에서 그는 프리드리히 토르베르크, H. C. 아트만, 때로는 엘리아스 카네티, 한스 바이겔, 헬무트 퀄팅거를 만났는데, 퀄팅거와는 나중에 협력하고 공연을 하기도 했다. 그는 한스 바이겔과 그의 동거인 엘프리데 오트에게서 연기 수업을 받았다.

2. 2. 초기 경력

헬러는 1964년부터 산문, 시, 노래를 써왔다. 예수회 기숙 학교를 다니다가 마투라를 받기 직전에 학교를 중퇴했다. 1965년부터 1967년까지 빈의 여러 아방가르드 극장에서 배우로 활동하며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1967년, 헬러는 ORF진보적인 팝 음악 방송국인 Ö3를 공동 설립하고, 매일 방송되는 "Musicbox" 프로그램의 진행자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2] 같은 해, 1970년에 발매된 "Nr1"이라는 제목의 첫 번째 LP 레코드를 녹음했다.[2] 1971년에는 두 번째 LP "Platte"를 발매했고, 1972년 비엔나 페스티벌에서 그의 첫 번째 연극 "King-Kong-King-Mayer–Mayer–Ling"이 초연되었다.[3]

2. 3. 샹송 가수로서의 활동

헬러는 15년 이상 시인이자 작사가로서 독일어를 사용하는 청중을 위해 다양한 주제의 작품을 작곡했다. 아스토르 피아졸라, 디노 살루치, 프레디 허바드와 같은 국제적인 인물뿐만 아니라 토니 스트리커, 볼프강 암브로스, 헬무트 퀄팅거와 같은 오스트리아 예술가들과도 협업했다. 헬러 자신의 시는 음악으로 만들어졌으며, 다른 작가들의 텍스트를 노래하기도 했다. 1970년 "캐서린"은 라인하르트 메이의 텍스트와 잭 그런스키의 음악으로 만들어진 헬러의 초기 히트곡 중 하나이다.[4] 베르너 슈나이더와 함께 자크 브렐의 "Franz"와 같은 비엔나 독일어 노래를 만들기도 했다.[5]

헬러는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적인 경험, 자신의 삶에 대한 통찰력, 가톨릭-유대인 기원을 바탕으로 "Angstlied"(''Verwunschen'', 1980)와 같은 노래를 만들었다.[5] "Miruna, die Riesin von Göteborg"(''Verwunschen'', 1980)와 같은 제목은 빈 환상적 사실주의 학파의 영향을 보여준다. "Das Lied vom idealen Park" (''Narrenlieder'', 1985), 볼프강 암브로스와의 듀엣곡인 밥 딜런의 커버곡 "Für immer jung" (''Stimmenhören'', 1983)[6]는 현재 오스트리아 팝의 일부가 되었다. 1983년에는 평화 운동 당시의 노래인 "Erhebet euch Geliebte"를 ''Stimmenhören''에 수록했다.

1980년대 초부터 헬러는 대규모 대중 공연, 설치 및 퍼포먼스로 전환했고, 1982년에 콘서트 경력을 마감했다. 1985년에는 앨범 ''Narrenlieder''가 발매되었다. 1967년부터 1985년까지 총 14장의 LP를 발표했으며, 그중 12장이 골드 레코드를 기록했고, 7번은 플래티넘을 획득했다. 1991년, 헬러는 이 시기를 회상하며 1982년이 경력의 정점이었고, 콘서트를 중단해야 했다고 밝혔다.

1968년부터 1983년까지 헬러는 자신의 텍스트와 일부는 직접 작곡한 노래를 담은 15장의 앨범을 녹음했다. 9번의 국제 콘서트 투어를 했고, 12번의 저녁 시간대 TV 쇼에서 호스트이자 엔터테이너로 활약했다. 2007년 4월, 60번째 생일에 비엔나 라디오컬투르하우스에서 콘서트를 열고 "Konzert für mich"(나를 위한 콘서트)라는 제목의 리사이틀로 25년 만에 무대에 복귀했다.[7]

2006년에는 크리스 겔브만의 주도로 헬러의 마지막 앨범인 ''Ruf und Echo''가 발매되었다.[8] 이 3-CD 모음집은 지난 20년 만에 처음 발매된 것으로, 브라이언 이노, 자비에 나이두, 토마스 D, 더 워크어바웃스와 같은 아티스트들의 신곡과 옛 히트곡의 해석을 담고 있다.

2. 4. 문화 매니저로서의 활동

헬러는 독일에서 열린 2006년 FIFA 월드컵과 함께 진행된 예술 및 문화 프로그램의 예술 감독을 맡았다.[9] 그의 회사인 아르테벤트(Artevent)는 2006년 FIFA 월드컵 유치를 위한 독일 측 발표도 담당했다.[9] 그는 2000년에 성공적인 서독의 유치를 위한 최종 발표를 디자인했고, 2003년에는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 문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독일 전역을 순회하는 거대한 조명 축구공인 건축 프로젝트 "Fußball-Globus"를 디자인했다. 헬러는 축구 월드컵의 모토인 ''Die Welt zu Gast bei Freunden'' (친구를 만드는 시간)을 만들었다.

헬러는 월드컵을 위해 베를린 올림픽 경기장에서 브라이언 이노피터 가브리엘이 참여하는 개막 갈라 행사를 계획했다. 2006년 1월 13일, 이 행사는 FIFA에 의해 취소되었다. 취소 이유는 갈라 행사 종료 후 재설치될 잔디가 첫 경기에 완벽한 상태가 아닐 것이라는 점이었다.

2003년부터 로버트 호페러가 그의 매니저로, 빈에 본사를 둔 아르테벤트(Artevent)를 이끌고 있다.

2. 5. 배우로서의 활동

헬러는 1965년부터 1967년까지 빈의 여러 아방가르드 극장에서 배우로 활동하며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1976년부터 1981년까지는 다양한 국제 영화에서 주요 역할을 맡았다.

1960년대 후반, 헬러는 에리카 플루하르가 주연을 맡은 영화 ''돌 위의 이끼''에 재정 지원자로 참여했으며, 이 영화를 위해 상속 재산을 모두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배우로서 카메라 앞에 서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헬러는 한스-위르겐 시버베르크의 ''독일에서 온 히틀러'', Radu Gabrea의 ''Fürchte dich nicht, Jakob!|퓌르히테 디히 니히트, 야콥!de'', 프란츠 자이츠의 ''닥터 파우스트''와 페터 샴모니의 ''봄의 교향곡'', 막시밀리안 셸의 1979년 영화 ''빈 숲 이야기''에서 역할을 맡았다. ''빈 숲 이야기''는 외되온 폰 호르바트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1969년, 헬러는 아르투어 슈니츨러의 비극 희극 ''Das weite Land|다스 바이테 란트de''의 TV 버전에서 페터 보베의 연출로 참여했다.

연도제목원제배역
1977히틀러Hitler: A Film from Germany
1979비엔나 숲속의 이야기Tales from the Vienna Woods
1982파우스트 박사Doctor Faustus
1983애수의 트로이메라이Frühlingssinfonie
2002히틀러의 여비서


2. 6. 개인적인 삶

헬러는 1970년부터 1984년까지 배우이자 가수, 작가인 에리카 플루하르와 결혼했다. 1970년대에는 배우 게르트라우트 예세러와, 이후에는 배우 안드레아 에커트와 함께 살았다. 1980년대 중반에는 루디 카렐의 전 부인인 안케 케셀라르와 짧은 기간 동안 연인 관계를 맺었다.[10]

아들 페르디난트는 음악 활동을 위해 "레프트 보이"라는 예명을 사용한다.

3. 주요 작품 및 활동

안드레 헬러는 공연, 설치 미술, 문학, 음반,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예술 세계를 구축해왔다.

1988년에는 이탈리아 가르도네 리비에라에 있는 안드레 헬러 재단 식물원[13]을 인수하여 약 10000m2 규모의 식물원을 운영하고 있다. 2017년에는 안드레아와 알프레드 리들 포도원의 타겐브룬 성에서 "Weingöttin"(포도 여신) 취임식[19][20]을 열었으며,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탈 월드에 "Heroes of Peace"라는 방을 새로 디자인했다.[21]

헬러는 연극 분야에서도 활동하여, 오스트리아 빈 페스티벌 개막 초연작 ''킹콩 킹 마이어-링''과 1993년 부르크 극장에서 초연된 ''존재와 허상'' 등의 작품을 선보였다. 또한, 아돌프 히틀러의 비서 트라우들 융에에 관한 다큐멘터리 ''죽음의 앵글''로 2002년 베를린 영화제 파노라마 관객상을 수상했으며, 게르트 포스와 하랄트 슈미트의 대담을 담은 ''실패하고, 실패하고, 더 잘 실패하기''를 제작하기도 했다.

1996년에는 브로크하우스 백과사전 2000년판(밀레니엄 에디션) 24권의 디럭스 에디션을 디자인했다.

3. 1. 공연 및 설치 미술

안드레 헬러는 다양한 형태의 공연과 설치 미술을 통해 예술적 실험을 이어왔다.

  • 1981년, 시적인 음악 홀 공연인 "Flic Flac"을 빈 페스티벌의 일부로 유럽 투어를 진행했다.
  • 1983년, 리스본에서 바로크 양식의 빛과 색채를 이용한 "Theater des Feuers"(테아트로 드 포고) 불꽃 쇼를 선보였다. 헬러는 이 스펙터클한 공연에 사비를 투자하여 파산 직전에 이르기도 했다.
  • 1984년, 베를린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불꽃 쇼 "Sturz durch Träume"는 65만 명의 관객을 모았다. 같은 해, "Feuertheater mit Klangwolke" 공연도 열렸다.
  • 1985년, 베를린 연방정원박람회를 위해 4만 그루의 식물로 꽃 그림을 그린 "Misstraue der Idylle"를 선보였다.
  • 1985년, "Begnadete Körper"는 뮌헨의 도이체스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안후이와 베이징의 곡예 학교 거장들이 참여하여 유럽 투어를 진행, 서방 세계에 중국 곡예의 정교한 기술을 선보였다.
  • 1986년, 그라츠에 주요 작가들이 꽃 모양으로 시를 짓는 Dichtergartende (시인의 정원)을 조성했다.
  • 1986년, 열기구 조형물 "Himmelszeichen"을 런던, 뮌헨, 베니스, 오슬로, 뉴욕, 모스크바, 샌프란시스코, 나이아가라 폭포 상공에 띄웠다.
  • 1986년, "Salut für Olga" 쇼는 보드빌 예술의 부활을 시도했다.
  • 1987년, 함부르크에서 현대 미술 축제 "루나 루나"를 개최했다. 장 미셸 바스키아, 로이 리히텐슈타인, 살바도르 달리, 요제프 보이스, 키스 해링, 프리덴스라이히 훈데르트바서, 짐 와이팅 등 유명 예술가들이 참여했다.[11][12]
  • 1987년, 광대 퍼레이드 "Lachen Machen"을 선보였다.
  • 1988년, "Body and Soul"은 할렘, 무발레, 뉴올리언스 출신 음악가, 가수, 댄서 등이 출연하는 흑인 미국 유산 무대 쇼로, 뉴욕과 유럽에서 공연되었다. (영가, 딕시랜드 스타일 뉴올리언스 재즈, 래그타임, 비밥, 샌드슈, 블루스, 소울, 스캣, 탭댄스 등)
  • 1989년, 중국 국립 서커스 공연을 기획했다.
  • 1991년, 인도 우다이푸르 마하라나의 개인 극장인 "자그만디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 1991년, 쇤브룬 궁전 정원에 거대한 꽃 조형물과 분수인 "Versinkende Riesin"을 설치했다.
  • 1991년, 뉴욕 브로드허스트 극장에서 "Wonderhouse" 공연을 선보였다.[14]
  • 1992년, 홍콩 항구에 55미터 높이의 조형물 "Bamboo Man"을 설치했다.
  • 1992년, 베른하르트 폴과 함께 베를린의 극장 건물 개관과 함께 "Wintergarten-Varieté" 공연을 선보였다.
  • 1995년, 티롤 바텐스에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탈 월드"를 디자인했다.
  • 1997년, 이스라엘 사해에 "Boat of Salt"를 설치했다.
  • 1997년, 모로코 아이트벤하두에 빛 조형물 "The Dumb Prophet"을 설치했다.
  • 1997년, 일본 만화경 "Yumé"를 통해 도쿄 및 유럽 투어를 진행했다.
  • 1998년, 독일 에센의 RWE를 위한 놀라움의 공간 "Meteorit"을 조성했다.
  • 1999년, 모로코 마라케시에서 12개 문화권의 영적 가수, 음악가, 댄서와 함께 "Voices of God" 행사를 진행했다.
  • 2000년, 엑스포의 세계자연기금 파빌리온에 14미터 높이의 조각상 "Der Erdgeist"를 설치했다.
  • 2002년, 안드레 헬러가 기획, 제작하고 페페 단콰르트가 각색한 신화에 대한 시적 기록 "In The Heart of Light" – "Night of The Prima Donnas"을 선보였다.
  • 2002년, 파리의 테아트르 뒤 샤틀레에서 제시 노먼과 협업하여 "Anticipation / La Voix Humaine"을 공연했다.
  • 2003년, 2006년 FIFA 월드컵의 상징 "Football Globe"를 제작, 독일 및 국제 투어를 진행했다. (도쿄, 파리, 밀라노, 취리히)
  • 2005년, 아프리카 음악, 댄스, 곡예 쇼 "Afrika! Afrika!"를 선보였다. (2009년까지 공연)
  • 2006년, 2006 FIFA 월드컵 개막식을 기획했다.[15]
  • 2011년, 을 주제로 한 동화 장면의 만화경을 보여주는 "Magnifico"를 선보였다.
  • 2015년, 아랍에미리트 샤르자에 '알 누르 인젤'을 개장했다.[17]
  • 2016년, 모로코 마라케시 근처에 'Anima Garden'을 개장했다.[18]

3. 2. 문학 작품

헬러는 현재까지 14권의 출판물을 저술했다. 단편 소설집으로는 『비엔나의 불면증 수확』, 『오르락내리락』, 『슐라마셀』, 『내가 개였을 때』가 있으며, 소설로는 『그림자 잠수부』가 있다. 시집으로는 『Sitzt ana und glaubt, er is zwa』(헬무트 퀄팅거와 공저)가 있고, 그림책으로는 『자그만디르 – 꿈과 현실』, 『앙드레 헬러의 마법 정원』 등이 있다. 헬러의 프로젝트, 프로덕션, 계획에 관한 TV 다큐멘터리는 21편이 제작되었으며, 베르너 헤어조크, 지버베르크, 엘사 클렌쉬 등이 참여했다.[1]

다음은 헬러의 주요 문학 작품 목록이다.[1]

제목출판사연도비고
나를 칼 던지기 선수라고 부른다TBV 피셔1974
비엔나 불면증의 수확골드만1975삽화집
오르고 내리기호프만 앤 캄페1979
도롱뇽의 언어호프만 앤 캄페1981노래 1971–1981
플릭 플락울슈타인1982슈테판 모세스의 보드빌 시 사진, 화보집
환상의 지성소로의 순례헨셸 출판사1990
스캄마셀S. 피셔1993
브로크하우스 백과사전 2000199824권 호화판 제작
이미지 인생dvdrip2000공공 및 사생활, 화보집
내가 개였을 때예일 대학교 출판부2001
그림자 잠수부dvdrip2003
나 자신과 함께 아이가 되는 법을 배우다: 이야기S. 피셔2008예수회 기숙학교에서의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를 바탕으로 한 서사


3. 3. 음반 목록

안드레 헬러는 1960년대 후반부터 2019년까지 다양한 음반을 발표하며 음악 활동을 펼쳤다. 그의 음반은 시적인 가사와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연도제목비고
1966–1969초창기
1970No. 1
1971Platte
1972이것이 안드레 헬러였다
1973새로운 노래
1974A Musi A Musi
1975살아있는 동안라이브 음반
1976저녁의 나라
1978Basta
1978쓰라림과 달콤함
1979안드레 헬러, 바로 그
1979오늘과 어제의 노래헬무트 퀄팅거와 함께
1980Verwunschen|페어분셴de
1983Stimmenhören|슈팀멘회렌de
1985바보들의 노래
1989사랑의 노래
1991비평 전집 1967–1991
2003외침과 메아리
2008베스트헬러 1967–2007
2019늦은 빛



헬러는 1967년부터 1985년까지 총 14장의 LP를 발표했으며, 그 중 12장이 골드 레코드를 기록했고, 7번의 플래티넘을 획득했다.[4] 1983년에는 평화 운동 당시의 노래인 "Erhebet euch Geliebte"를 Stimmenhören|슈팀멘회렌de에 수록했다.[6] 2006년에는 크리스 겔브만의 주도로 앨범 ''Ruf und Echo''가 발매되었다.[8]

3. 4. 영화 출연작

헬러는 다음과 같은 영화에 출연했다.

  • 히틀러의 여비서 (2002년)
  • 애수의 트로이메라이 (1983년)
  • 파우스트 박사 (1982년)
  • 비엔나 숲속의 이야기 (1979년)
  • 히틀러 (1977년)


1976년부터 1981년까지 헬러는 다양한 국제 영화에서 주요 역할을 맡았다. 한스-위르겐 시버베르크의 ''독일에서 온 히틀러'', Radu Gabrea의 ''Fürchte dich nicht, Jakob!|Fear Not, Jacob!de'', 프란츠 자이츠의 ''닥터 파우스트''와 페터 샴모니의 ''봄의 교향곡'', 막시밀리안 셸의 1979년 영화 ''빈 숲 이야기''에서 역할을 맡았다.

4. 평가 및 영향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안드레 헬러의 예술 세계에 대한 비평적 평가, 사회문화적 영향, 후대 예술가들에게 미친 영향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뉴스 Größenwahnsinniger mit zureichendem Grund https://www.welt.de/[...] Die Welt 2012-03-17
[2] 웹사이트 Discography http://andreheller.c[...] 2012-03-25
[3] 웹사이트 Projects https://archive.toda[...]
[4] 웹사이트 Jack Grunsky website. http://www.jackgruns[...] 2012-03-25
[5] 웹사이트 Andre Heller Verwunschen http://www.austrianc[...]
[6] 웹사이트 André Heller – Stimmenhören http://www.austrianc[...]
[7] 웹사이트 Citation by Alfred Gusenbauer for André Heller in German http://oe1.orf.at/ar[...]
[8] 웹사이트 Ruf und Echo https://archive.toda[...] now!
[9] 웹사이트 Artevent Website – the production company owned by André Heller http://www.artevent.[...]
[10] 웹사이트 Palais Windischgraetz http://burgenkunde.a[...]
[11] 뉴스 A Bird? A Plane? Flying Art! https://www.nytimes.[...] 1987-08-08
[12] 웹사이트 Luna Luna https://www.minniemu[...] 2021-05-02
[13] 웹사이트 My Garden – Preface http://www.hellergar[...] 2012-03-25
[14] 웹사이트 Wonderhouse https://www.ibdb.com[...] Internet Broadway Database
[15] 웹사이트 Past world champions to take part in 2006 FIFA World Cup™ opening ceremony https://web.archive.[...] FIFA 2006-06-08
[16] 웹사이트 Website Swarovski https://kristallwelt[...]
[17] 웹사이트 Website Al Noor Island http://shurooq.gov.a[...]
[18] 웹사이트 Website Anima Garden in English http://www.anima-gar[...]
[19] 웹사이트 Website Taggenbrunn http://www.taggenbru[...]
[20] 웹사이트 Artikel https://www.art-reda[...] 2018-04-17
[21] 웹사이트 Website Kristallwelten https://kristallwelt[...]
[22] 웹사이트 TV Report on 3-sat entitled: "Verbannt ins Katholische" http://www.3sat.de/p[...] 3-sat 2012-03-25
[23] 웹사이트 Amadeus Austrian Music Award http://www.amadeusaw[...] 2012-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